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자유연상단어 기법을 활용한 ‘놀이’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적 인식분석 연구

Experiential cognition analysis through ‘play’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the free association word technique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방향성인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유연상단어 기법을 활용하여 놀이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연구동의를 받은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작성한 후 불성실한 응답 설문을 제외한 204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경험의 단어 빈도를 분석한 결과 ‘즐거움(33)’, ‘자유(30)’, ‘친구(30)’, ‘흥미(2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경험의 의미를 범주화한 결과 ‘긍정적 정서(163)’, ‘내외적 성장(138)’, ‘놀이 종류(126)’, ‘시공간(101)’, ‘물질(99)’, ‘자유선택(99)’, ‘창의성(89)’, ‘놀이 대상(74)’, ‘내적 동기(55)’, ‘안전(34)’, ‘승부욕(21)’, ‘삶(14)’, ‘지원(7)’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경험을 알아보고 유아교사로서 필요한 놀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과정 동안 선행되어야 하는 놀이 경험의 방향성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used the free association word technique to examine experiential cognition through play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required to implement a play-centered curriculum, aligning with the 2019 Nuri curriculum direc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204 research participants after excluding insincereo the questionnaire; it was initially administered to 210 individuals who consented to parti responses tcipate.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several key points. First, the analysis of word frequency using the free association technique showed the prominence of words like ‘pleasure(33)’, ‘freedom(30)’, ‘friend(30)’, and ‘zest(24)’. Second, upon categorizing the meanings of words provid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following emerged: ‘positive emotion(163)’ , ‘internal and external growth(138)’ , ‘play type(126)’, ‘time and space(101)’, ‘substance(99)’, ‘free choice(99)’, ‘creativity(89)’, ‘play object(74)’, ‘internal motive(55)’, ‘safety(34)’, ‘competitive spirit(21)’, ‘life(14)’, and ‘support(7)’. The research results aim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grasping the play experience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Furthermore, it contributes to guiding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implement a play-orient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