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마음건강 서비스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연구: ‘심리상담서비스’와 ‘심리서비스’를 중심으로

Public Perception of Mental Health Service: Focusing on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 and ‘Psychological Service’

본 연구는 제2차 정신건강복지기본계획안의 추진방향에 따라 심리상담이 비의료영역의 서비스 주체로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국민들의 마음건강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예비연구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선호하는 마음건강 관련 전문적 도움’, ‘심리상담의 효용성에 대한 인식’, ‘심리상담 범위에 대한 인식’, ‘심리상담을 표현하는 용어의 적절성에에 대한 인식’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총 20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20-50대 1,021명에게 조사한 결과 ‘상담’은 ‘심리’보다 핵심적인 의미이자 마음건강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용어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나 ‘심리’와 ‘상담’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그것을 더 적절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리상담서비스는 전 연령대의 사람들이 폭넓은 문제로 다양한 방식의 도움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심리상담 법제화 과정에서 직무와 자격명에 대한 합의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s perceptions of mental health services to determine whether psychological counseling can play a role as a non-medical service provider under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asic Plan for Mental Health and Welfare.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1,021 people in the 20-50 age group showed that 'counseling' is perceived as a more core meaning than 'psychology' and a term that directly expresses mental health services. However, 'psychology' and 'counseling' are perceived to be used together. In addition,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are perceived to be available to people of all ages for a wide range of problems and in various ways. Based on this, it was discussed that there is a need to agree on the name of the job and qualification in the process of legislating psychological counseling.

방법

결과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