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사 실행공동체의 다중언어 수업 개발 및 학교 현장 적용에 대한 사례연구

Development of the Contextualized Plurilingual Classes for Korean Classrooms Through a Teachers’ Community

DOI : 10.14328/MES.2023.6.30.1
  • 7

이 연구는 초국적 이주의 시대에 한국 공교육에서 언어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현직 교사들의 다중언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들이 개발하고 적용한 다중언어 수업 사례들을 탐구함으로써 한국 교실 현장에 맥락화된 다중언어교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연구참여자는 8인의 교사이며 약 1년에 걸친 실행공동체 모임에 참여했다. 교사 발화와 교수안, 활동지, 사전․사후 성찰 등의 질적 자료를 기반으로 교수안의 전반적인 특성과 다중언어주의적 성취목표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다중언어교육의 실현이 어렵지만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개발하고 적용한 다중언어 수업은 공통적으로 5가지 특성(언어와 문화 요소의 융합, 다문화교육적 내용 요소의 통합, 학생 중심 교수 내용 및 방법 활용, 교과교육과 다중언어교육의 융합, 다중양식의 수업자료 및 테크놀러지 활용)을 보여주었다. 한편, 다중언어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언어다양성 경험을 통한 인식변화’, ‘다중언어적 이해’, ‘다중언어적 레퍼토리 구축’, ‘다중문화적 레퍼토리 구축’, ‘언어권력에 대한 비판적 인식함양’‘이라는 수업의 기대목표를 발견하였고, 각 항목은 개별 교사와 수업 환경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의 교사들이 다중언어교육에 대한 생각과 배움을 나누는 기회이자, 토론과 협력을 통해 다중언어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틀을 마련하고 실제 교실 적용까지 수행하였던 실천적 공간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question, ‘how to deal with language issues in Korean public education in the era of transnational mobility?’ initiated this study. This case-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implementing plurilingualism based on CEFR in Korean classrooms through examining in-service teachers’ experimental plurilingual class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eight teachers who attended online meetings through zoom and Google classroom as a ‘community of practice’ over a year. The eight plurilingual classes developed by the teachers had five common characteristics: convergence of language and cultural elements,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ent-centered activities, subject-based plurilingual education, and use of multimodal materials and technology. It was also foun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plurilingualism, the developed plurilingual classes aimed to change students’ perceptions of languages through experiencing diverse languages; to develop their plurilingual comprehension; to build on their plurilingual repertoire; to build on their pluricultural repertoire; and to raise their critical awareness of power issues in langua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rved as a space for teachers not only to learn about plurilingualism but also to design plurilingual classes and see how it actually works in their own classrooms.

Ⅰ. 서론: 이동하는 인간들의 시대, 다중언어교육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