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실태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출생 다문화학생으로 구성된 광역시 정책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the Case of Metropolitan City Policy Schools Composed of Multicultural Students Born in Korea
본 연구는 초등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마련하기 위한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한 곳을 선정하고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관찰과 교육 관련자 면담을 통해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에서는 운영 계획과 실행의 괴리, 다문화학생과 학부모의 부정적 인식, 피상적이고 일회적인 교육활동의 실행이라는 한계를 보였다. 그리고 교육관련자들이 청소년기에 이른 국내 출생 다문화학생의 정서적 결핍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 학생들이 정책 실행이나 교육 활동 과정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였다. 담임교사들은 다문화학생의 정서적 지원과정에서 고충을 겪지만,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 연수나 교육 자료는 부족한 상태였다. 그러므로 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문화학생을 위한 통합적 지원체제를 구축하고 그물망 지원을 확대하며, 정서적 지원 및 정체성 함양 활동을 연계한 다문화 진로교육을 해야 한다. 또한 실질적인 다문화 교원연수를 지원하고 교내 다문화 교사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나아가 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성 및 연속성을 강화하고, 정책 제안 창구를 마련하여 다문화교육 개선방안을 수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exploring in-depth the operation status and problems of elementary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To this end, a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as select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explored by identifying the status and problems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interviews with education offici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lementary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 showed limitations in the gap between operation plan and implementation, negativ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parents, superficial and one-off educational activities, and alien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born in Korea. The homeroom teachers suffered from difficulties in the emotional support process of multicultural students, but there was a lack of practical training or educational materials to strengthe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multicultural students, expand net support, and provide multicultural career education linking emotional support and identity development activ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practical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and establish a multicultural teacher cooperation system in school.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ystematicity and continuity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collecting measures to improve multicultural education by establishing a policy proposal window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초등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실태 분석 결과
Ⅴ. 초등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을 위한 시사점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