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이중문화수용태도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경험 여부를 중심으로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National Ident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Differences Depending on Experience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Support

DOI : 10.14328/MES.2023.3.31.165
  • 508

이 연구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국내 출생 자녀인 다문화가정자녀가 겪는 문화적응스트레스, 이중문화수용태도, 국가정체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의미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특히 이중문화수용태도와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경험 여부 차이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기여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따라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Multicultural Adolsents Panel Study) 2기 2차(2021) 데이터 1,704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방법은 패널테이터의 특성과 다변량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 판단된 PLS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이중문화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낮아졌다. 둘째, 다문화가정자녀의 이중문화수용태도는 국가정체성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높을수록 국가정체성도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셋째, 다문화가정자녀의 이중문화수용태도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국가정체성 경로에서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함으로써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커지면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낮아져 국가정체성이 낮아진다. 넷째, 다문화가정자녀에 관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경험 유무에 의한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한 조절 효과로 드러난 경로는 이중문화수용태도와 국가정체성 구간이었다. 즉,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의 국가정체성이 정책지원을 받은 경험이 없는 집단의 국가정체성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가정자녀가 바람직한 시민으로서 국가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과 다문화가정자녀를 위한 정책지원 단계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근거자료로서 가치를 함의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national identity and to identify the semantic relationship experienced b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f immigrant women by intermarriage.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contribution that differences in experience in multicultural family policy support make to national identity. Therefore, data of 1,704 people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and the PLS-SEM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first, the direct effect of lowering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was revealed wh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ceived a lot of acculturation stress. Second, there was a direct effect that the higher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higher their national identity. Third, when the acculturation str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s, the attitude of accepting bicultural identity decreases, which lowers national identity. In other words,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that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receiv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of policy support in a state where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increa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