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문화학생 밀집지역의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S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Analyzing Multicltural Education Policy in Multicultural Students Concentrated Areas: Focusing on S Office of Education

최근 다문화학생의 급격한 증가 현상은 일부 지역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다문화가정이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게 되면서 다문화학생 밀집지역이 출현하게 된 것이다. 다문화학생 밀집지역에서는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 현장 지원을 위해 중앙정부와 시·도교육청 수준의 계획을 큰 틀에서 적용하면서도, 교육지원청 수준에서도 다문화교육 정책을 계획 및 실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학생 밀집지역의 다문화교육 정책을 S교육지원청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시기별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의 여러 접근법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다문화교육의 대상, 목적, 방법의 영역으로 이론적 틀을 개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학생 밀집지역에서는 동화주의 중심의 다문화교육 정책에서 문화다원주의, 다문화주의 접근의 확대라는 전반적인 흐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최근 2년 동안은 다문화학생을 중심으로 생활적응과 한국어학습을 지원하거나 타문화이해와 대인관계 개선, 긍정적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그 방법은 개인, 학교, 지역사회 차원에서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국내 다문화교육 정책이 대상별로 세분화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일반학생이나 교원을 대상으로 한 양질의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이 필요하며, 다문화학생을 결핍의 관점에서 벗어나 적극적 사회 변혁의 주체로 기르려는 노력이 수반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같은 노력이 근본적인 학교교육의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개인에만 의존하는 것에서 벗어나 학교나 지역사회와 같은 공동체 차원의 접근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Recently, the rapid increase of multicultural students is more pronounced in some regions. In order to support the schools of these area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at the education support office level. In this study,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area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 Education Support Off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Korea. To analyze policy, we develop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objects, purpose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there was a change from the assimilationist approach to the cultural pluralistic and the multiculturalist approach. In particular, over the last two years(2020-2021), there were many programs focused on multicultural students to support their school adaptation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o help them understand other cultures,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orm a positive self-identity. Multicultural education was conducted on the individual, school, and community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Korea provide a customized program for multicultural students, developing high-quality programs for students and teachers. It is also necessary to foster them as agent of social reform. Finally, it is important not only to depend on the individual but also to take a community approach.

Ⅰ. 서 론

Ⅱ. 다문화교육의 접근법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국문요약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