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국제혁신학교에서 다문화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자율성이 제도적으로 확보된 다문화국제혁신학교 A, B, C 초등학교의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각 학교에서 3년 이상 근무한 교사 3명씩 총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이를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 학교 교육과정, 다문화 학생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변화하였다.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을 한국어교육 또는 문화이해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또는 인권교육으로 인식을 확장하였다. 다문화학생에 대한 인식도 ‘다문화’나 ‘인종’이 아니라 ‘학생’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둘째, 교사의 다양한 문화에 대한 지식,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이해가 깊어져서, 이를 바탕으로 정책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셋째,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맞춤형 수업 역량, 언어 역량이 강화되었다. 다문화를 주제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역량과 함께, 학생 맞춤형 수업에 대한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의 모어를 통한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느끼고 외국어를 학습하며 외국어 역량을 강화하는 모습도 보였다. 넷째, 다문화학생과 학부모에 대한 배려, 이해, 수용 등 태도의 변화가 있었다. 학생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으며, 낯설었던 학부모의 억양과 말투로 소통에 대한 부담을 느꼈던 교사는 학부모의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로 차이를 인정하고 수용하게 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of teachers who are experiencing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in schools of high multicultural students concentration. The teachers of A, B, and C elementary schools, which have been institutionally secured curriculum autonom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9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chool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students have been changed. Teachers expanded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education for all students or human righ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also focused on ‘students’ rather than ‘multicultural’ or ‘racial’. Second, the knowledge of teachers for various cultures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deepened and they suggested the multicultural policies. Third, teachers achieve competency of designing the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language competency. Fourth, there were changed in attitud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and parents such as consideratio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These findings could have a significance of method which strength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국문요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