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잠재 수요 예측 연구 - 아동기 및 후천성 성인기 의사소통 장애를 중심으로 -

The Prevalence of Potential AAC Users in Korea - From the Early Childhood to the Adulthood -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경우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을 사용하고 있는 영유아 및 학령기 아동, 후천적인 의사소통 장애 성인에 대한 인구 통계학적인 자료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AC중재가 필요한 의사소통 장애인의 잠재 수요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AAC 중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삼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의 각종 장애유형별 출현율 통계자료 및 해외 문헌 분석을 통해 장애유형별 AAC잠재수요를 추정하였다. 영유아기 및 학령기 인구의 잠재 수요는 보건복지부 장애인 등록 현황과 교육부 특수교육 통계를 이용하였으며 성인의 경우에는 후천적인 의사소통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들의 발생률, 출현율을 참고하여 추정하였다. 결과: AAC 잠재 수요자는 영유아기 1,404 명, 학령기 24,663 명, 후천적인 의사소통 장애 성인 중 AAC 잠재 수요자는 31 만 3,690 명으로 추정되었다. 논의 및 결론: 국내 장애인 등록 현황에 맞는 AAC 잠재 수요자 추정치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는 후속연구와 수요에 따른 지원체계 구축 방안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성인 AAC 수요자는 현대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AAC 사용자에 대한 사회전반적인 인식개선과 전문적인 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실제적인 AAC 보급과 확산을 통해 국내 현실에 맞는 AAC 실수요에 대한 요구조사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South Korea, many people with disabilities or disease experience communication difficulties in society but there is no demographic study about the prevalence of potential AAC users who ne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ethods. This study aimed at researching the prevalence of potential AAC users in Korea and providing the basis for appropriate AAC service delivery. Method: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researches were analyz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potential AAC users in Korea. In the case of the early childhood and school aged population, we analyzed the disability registration data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special education statistic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potential adult AAC users, prevalence and incidence data of the major diseases with acquired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oreign AAC prevalence studies. All research process was validated through expert group evaluation. Results: Estimated population who need AAC is about 1,404 in early childhood, 24,663 in school-aged children, and 313,690 in adults with acquired communication disorders. In this study, we apply conservative standard for estimation, so the result should be viewed as minimum number of potential AAC users in Korea. Conclusion: Although AAC service in Korea is neither popular nor well-established ye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great need for i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actical and effective AAC intervention system should be prepared for each potential AAC user group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