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과 사진을 활용한 스크립트 활동이 중도 ·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Based on Script Activities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 제2권 제1호
- 2014.06
- 23 - 47 (25 page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사물과 사진을 활용한 스크립트 활동이 자발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3 명의 중도·중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스크립트 활동을 통한 의사소통 중재를 실시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의 빈도와 의사소통행동의 형태별 빈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과 사진 스크립트 활동은 참여학생의 의사소통행동 빈도를 증가시켰으며 의사소통행동의 변화는 유지되었다. 그러나 일반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학생 모두의 의사소통행동의 형태별 빈도는 증가하고 그 변화는 유지되었다. 그러나 의사소통행동의 형태별 빈도는 일반화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나타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의 변화는 학생들이 선호하는 스크립트 활동 중심의 중재가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또한 친숙한 사람을 의사소통 대화상대자로 선정한 것이 의사소통행동에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일반화가 되지 않은 것은 장애학생의 건강 및 정서상의 요인 및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대화상대자로 선정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교육적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cript activities which use objects and photographs on the communica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ith difficulties in spontaneous communication. Method: This study shows how the script activities affect the students' frequency of overall behaviors and that by modality through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the subjects targeting 3 students. Result: The result follows that, first, the script activities increase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and the effect is maintained. Second, frequency by modality is also increased and is maintained. However, these are not generaliz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AC intervention for the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s structured with activities preferred by students. An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is increased, once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with familiar communication partner. The reasons for the failure of generalization are supposed to be change in communication partner or individual health issue and emotional conditions of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 abou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 results.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