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전환기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직무환경에서의 AAC 적용

Transition-age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Uses AAC in the Workplace: A Case Study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전환기에 있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직무 환경에서 국내에서 개발된 AAC 평가 및 중재를 적용해보는 것과, 적용 후 학생의 직업 기술 및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 추후 전환기에 있는 AAC 사용자들에게 AAC 를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지적장애 청소년 1 명을 대상으로 직업훈련 환경에서 AAC 평가 및 중재를 하였다. AAC 평가는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 평가 프로토콜(KAAP)을, AAC 중재는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프로토콜(KAIP)를 적용하였다. 결과: 학생의 AAC 팀에는 보호자, 언어치료사, 특수교사, 작업장매니저들이 포함되었다. 학생은 의자에 앉기 및 집게손가락으로 지적하기가 가능하며 물건 및 행동요구하기, 선택하기, 거부/부정하기, 수긍하기, 기분/감정표현하기 등을 구어, 발성과 제스처로 표현하였다. 학생의 상징 크기 및 개수, 의사소통 판 유형 평가 결과, 15 개의 상징 선택이 가능하였고 단일 의사소통 판 및 문장형 의사소통 판이 적절하였다. 도구 평가 결과, 목걸이형 의사소통판과 콤마 AAC 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논의 및 결론: AAC 평가 및 중재 후, 작업 환경에서 학생의 의사소통 정확도 및 참여도가 높아졌다. AAC 학생들의 AAC 를 활용하여 학령기 직업전환 교육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고용주와 직업 훈련 담당자들에게 AAC 중재를 하여 AAC 에 대해 인식 변화를 통해 고용의 기회를 확대시켜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conduct both Kore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ssessment Protocols(KAAP) and Kore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tocols (KAIP) and (2) to provide directions to AAC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young adults who use AAC in the workplace. Method: One transitional-age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use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participated in this study. KAAP and KAIP were conducted to the student in the working environment. Results: The members of AAC team for the student were parents, a SLP,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managers. The student was able to sit in a chair and point to the picture representing the message. He also was able to use conventional modes of communication such as leading, gestures, verbals, and vocalization. Visual supports were provided to anticipate the steps and rules in the workplace. A communication necklace and comma AAC wer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communication partners in the workplace. Conclusion: The student increased the accuracy of functional communication skills and participated more frequently in the workplace after AAC intervention. AAC intervention should be explained to employers in the working environment to have more job opportunities for AAC users.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