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경남, 부산 지역 특수교육 기관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실태와 연구 현황

The Status of AAC Researches and Intervention in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of Gyeongnam and Busan

  • 10

본 연구는 경남, 부산 지역 특수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AAC 중재의 실태와 이 지역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최근 5 년간의 AAC 관련 연구 현황을 조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조사에 참여한 경남, 부산 지역의 특수교육기관은 모두 9 개 기관으로서 특수학교 5 곳, 장애전담어린이집 3 곳, 특수교육지원센터 1 곳이었다. AAC 관련 연구 조사는 경남과 부산 지역을 배경으로 2010 년 이후 수행된 연구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AAC를 필요로 하는 학생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하는 학생은 매우 적었다. AAC 도구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주로 녹음형의 음성산출 도구에 제한되어 있었다. 교사들은 개별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AAC 도구 선택과 중재에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AAC에 대한 현직연수 교육을 요구하였다. 교사들이 AAC 중재에 대한 연수교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이버공간에서의 연수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경남, 부산지역을 배경으로 2010 년부터 수행된 AAC 관련 연구들 중 대부분은 AAC 사용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거나, AAC 사용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태도를 조사한 연구였으며, AAC 중재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향후 연구방향으로 학령기 학생뿐 아니라 장애전담어린이집의 어린 유아 대상이나 전환교육 및 직업 교육 현장의 청소년들을 위한 AAC 중재에 대한 중재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tatus of AAC researches and intervention in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of Gyeongnam and Busan. The survey institutes were 9 special schools and 3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1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surveying the research status, AAC researches written after 2010 in Gyeongnam and Busan were collected fro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lthough there were lots of students needing AAC(9.1%-57.7% of total students in the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just a little students(0-28% of students needing AAC) used AAC system in those institutes. Most of AAC devices which students used were limited digital recording voice output communication aides. Many teachers requested field training about AAC because they had many difficulties to find appropriate AAC devic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ndividual students. It is need to develop field training program so that teachers to learn about AAC intervention easily through cyber space. There are some researches performed to survey the status of AAC utility and perception of teachers and general students about AAC after 2010 in Gyeongnam and Busan. It is need to study about AAC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settings of transition and vocation.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