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커 스위치를 활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요구하기 행동 및 상징 사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Talker Switch in AAC on Requesting and Symbol Use of A Young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 제3권 제2호
- 2015.12
- 95 - 121 (27 pages)
배경 및 목적: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토커 스위치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 · 중복장애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는 중도 · 중복장애 유아 1명이 참여하였으며, 대상 유아의 요구(needs), 연령, 수행 수준, 건강 상태와 운동능력을 고려하여 토커 스위치(talker switch)를 선정하여 AAC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사례연구는 사전검사, 토커 스위치를 활용한 AAC 중재, 사후검사로 구성되었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 · 중복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 특히, 의사소통 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사후 검사에서 대상유아의 토커 스위치(talker switch) 사용 능력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셋째, 사후 검사에서 중도·중복장애 유아는 3가지 상징을 이해하게 되었다. 대상유아는 인물을 이해하고, 상징을 사용하게 되었다. 넷째, 대상 유아는 의사소통 형태가 우는 행동에서 AAC 도구를 사용하는 행동으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다섯째, 대상 유아는 의사소통 상대자와 질적으로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사례연구의 결과들은 중도 · 중복장애 유아에게 AAC 중재를 적용하기 전 스위치 사용을 위한 훈련을 실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talker switch training and switch adaptation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on the communication of a child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Method: A kindergarten student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 talker switch was selected based on his needs, age, functional level, physical condition, and mobility. This case study was consisted of a pre-test, AAC intervention with talker switch training and a post-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on skill of the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mproved. Specifically, communication behaviors were increased. Second, talker switch control abilities of the child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he post-test. Third, the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able to understand 3 pictures in the post-test. He was able to understand figures and use the symbol. Fourth, the communication form of the child changed positively from crying to pressing the AAC device. Fifth, the child was able to meaningfully communicate with his communication partner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case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witch training before adaptation for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AC intervention.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