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연령별 조음 특성

The Feature of Articulation according to Language Age in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

배경 및 목적: 이 연구에 목적은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연령별 조음 특성을 자음정확도, 조음위치별, 조음방법별로 분석하였다. 방법: 지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아동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두 단어 이상 구어를 사용할 수 있는 지적장애 아동으로 하였다. 결과: 첫째, 언어연령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전체 자음정확도는 언어연령이 증가하면 증가한다. 둘째, 조음위치에 대한 언어연령별 오조음률은 연령별 차이는 있지만 치조음, 연구개음, 경구개음, 양순음, 성문음 순서로 대부분 정상아동과 비슷한 발달과정이었다. 조음방법에 대한 언어연령별 오조음률은 연령별 차이는 있지만 유음, 마찰음, 파찰음, 폐쇄음, 비음 순이다. 결론 및 논의: 이연구의 결과 장애아동의 언어연령별 조음특성이 정상아동과 비슷한 발달과정을 거친다고 것을 알 수 있으며, 장애아동의 언어교육과 치료를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가 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find out tendency of articulation according to language age development by the correct proportion of total consonants' articulation, tendency of articulation development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and of manner. Method: For the subject for this study, 23 intellectual disability persons who special school took part in the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 Results: First,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s correct rate of whole consonant articulation increases as their language age glow up. Second,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the articulation development tendency has a little difference in each language age group but the order of the total misarticulation, of which sequence is from higher misarticulation to lower misarticulation, is proved to be alvealar, velar, palatal, biabial, glottal and the order almost agree with the case of normal children. Third, in the manner of articulation, the order of misarticulation, of which sequence is from higher misarticulation to lower misarticulation, is proved to be liquids, fricative, affricate, implosive, nasa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een that the language articulation 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bjected to a similar developmental process and normal children, there is a significance to that as a basis for planning a language,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