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인식 조사

Parent’s Perception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y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설문지 개발은 AAC 인식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였다. 자료 수집은 수도권과 충청권에 거주하는 중도장애 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모바일과 지면설문지를 통하여 112건을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AAC 대한 부모 인지도에 관한 문항 중 AAC를 아는 응답자는 57 명(51%), 모르는 응답자는 55 명(49%)으로 조사되었다. AAC를 알지만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구어 사용을 원해서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둘째, AAC에 대한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이해도에 관한 문항 중에서, AAC 적용을 ‘현재 구어 의사소통이 전혀 없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다.’와 ‘최소한의 인지발달이 이루어진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것이다.’ 문항에 부정적으로 이해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셋째, AAC에 대한 기대도 문항에서 많은 응답자가 AAC 사용이 의사소통 발달에 효과가 있을 거라고 기대하였다. 또한 가장 적절한 AAC 전문가로 ‘언어치료사’라는 대답이 많았다. AAC 안내 시제공받길 원하는 내용으로 AAC 치료 방법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향후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성화 방안으로 다양한 부모교육 실시를 기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이 필요한 중도장애 학생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모들이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부모교육의 내용 등을 제시함으로써 언어재활사가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시고려할 점 등을 제안하였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awareness, comprehension, expectation) of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mong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Metho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utilizing previous research. They were composed of questions asking for general information and about perceptions of AAC. The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by mail, or online. A total of 112 questionnaires were chosen for analysis. Results: First, regarding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awareness level of AAC among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57 (51%) answered that they were aware of ACC, while 55 (49%) answered they were not. Second, parents were asked about their comprehension of ACC. Many parents answered negatively about AAC, saying “Yes” to statements such as ‘AAC should be applied in case of an absolute absence of verbal communication,’ and ‘AAC should be used on subjects beyond the minimum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Third, from questions regarding the expectations of AAC, the largest number of parents pointed to the capability of communication as the expected benefit of using AAC. Most of the participants expected that AAC would be effective in communication development. The largest number of parents pointed to the basic knowledge of AAC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parental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objectively showed that a number of parents were lacking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n AAC, while thei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could have benefited from the use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al education about AAC must be conducted more frequently.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