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비상징기 중도 뇌성마비 청소년을 위한 실제 사물과 음성산출도구의 효과성 비교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Real Objects and Voice Output Aids for Non-symbolic Communicators with Severe Cerebral Palsy

  • 15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비상징기 의사소통 단계에 있는 중도 뇌성마비 청소년을 위한 실제 사물과 음성산출 도구(VOCA)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AAC 사용 경험이 전혀 없는 비상징기의 중도 뇌성마비 청소년으로 16 세 이상이지만 특수학교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2 명이었다. 연구 설계는 각 학생별로 회기 간 교대중재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는 기초선, 중재Ⅰ단계, 일반화Ⅰ, 중재Ⅱ 단계, 일반화Ⅱ와 유지단계로 구성되었다. 중재전략으로는 중재Ⅰ단계에서 최대-최소촉구 전략을 사용하였고, 중재Ⅱ 단계에서는 최소-최대촉구 전략을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비상징기 중도 뇌성마비 청소년 2 명 모두 중재 초기에는 VOCA보다 실제 사물을 이용해서 요구하기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중재 후기와 일반화 단계에서는 VOCA를 사용할 때 요구하기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상징기 중도 뇌성마비 청소년 2명 모두 중재 초기에는 자발적 발성이 거의 없었지만 중재 Ⅱ단계 와 일반화 단계에서 두 학생은 모두 실제 사물보다 VOCA에서 자발적 발성의 비율이 더 높았다. 결론: 결론적으로 VOCA를 이용한 AAC 중재는 비상징기 중도 뇌성마비 청소년의 요구하기 기능과 자발적 발성 증진에 효과적이며 의사소통을 위한 기초 개념인 인과개념을 확립하고 상징기로의 전환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using real objects and voice output aids(VOCAs) for non-symbolic communicators with severe cerebral palsy. Method: Participants were two non-symbolic adolescents with severe cerebral palsy who had not used AAC aid. This study used 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ATD) between sessions. The intervention was composed with baseline, treatment Ⅰ, generalization Ⅰ, treatment Ⅱ, generalization Ⅱ and a maintenance phase. The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composed of the most-to-least prompt system in the treatment Ⅰ and the least-to-most prompt system in the treatment Ⅱ. Results: First, two adolescents revealed higher requesting in real objects than VOCAs at the beginning of intervention, but revealed higher requesting using VOCAs in generalization. Second, at the beginning of intervention, two adolescents barely produced spontaneous vocalization but revealed higher spontaneous vocalization using VOCAs than real objects in generalization. Conclusion: AAC intervention with VOCA impacted on an increase in requesting and spontaneous vocalization of adolescents with severe cerebral palsy. AAC intervention was needed for non-symbolic communicators to get the cause-and-effect concept and to develop into symbolic communicators.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