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보편적 학습설계(UDL)을 적용한 통합인식개선프로그램이 일반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clusive education awareness program with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ceptance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 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통합인식개선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일반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일반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태도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6개 학급으로 각 3학급씩 실험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모든 학급에 유사한 수준의 지적장애학생이 통합되어 있었다.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통합인식개선 프로그램은 사전 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16주간 진행되었으며, 독립적으로 실시되던 장애이해교육, 인권교육, 학교폭력예방교육과 같은 인성교육프로그램 내용을 융합하여 개발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는 학교생활만족도척도 (지서향, 2016), AATAAC(Beck et al., 2000; 임장현, 2011),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조소이, 2014)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두 독립변인 t-test를 통해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일반학생 실험집단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및 AAC에 대한 태도는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로 볼 때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통합인식개선 프로그램은 학교생활만족도 뿐 아니라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태도와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보편적 학습설계 원칙을 교과가 아닌 통합인식개선 프로그램에 적용한 것과 AAC 그림상징을 이해와 표현을 위해 적용한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clusive education awareness program with a UDL components o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he attitude of acceptance of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UDL components included AAC picture symbols to enhance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and motivation. Method: Participants were 6 classes of fourth-graders in one elementary school. They were placed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andomly; each group had 3 classes. This study consisted of a 16-week integrated program that includes education on disability awareness, human rights education,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n addition, we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clusive education awareness (D․H․P) program, with a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ffects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general students, or their attitudes towards disabilitie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in all three dependent measures (school life satisfactio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towards AAC),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more personality education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hat there is a need to link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human rights education,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considering school and student characteristics. It was also shown that AAC, which was used as a class material, positively affected not only students withintellectual disabilities but also general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es.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