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아이트래킹 분석을 통한 마이토키와 PCS 감정 상징 인식 연구

The Comparative Eye-tracking Study on Perception between Mytalkie and PCS Emotion Symbols

배경 및 목적: AAC 사용자들은 그래픽 상징으로 감정을 표현하게 된다. 따라서 감정 상징의 도상성은 AAC로 감정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마이토키와 PCS 감정 상징을 정상 성인이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이트래킹 연구기법을 사용하여 감정 상징에 대한 시각 집중(visual attention) 패턴을 분석하였다. 방법: 20 대 성인 남자 11 명과 여자 15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안경형 안구 추적장치를 쓰고, 모니터에 제시되는 PCS와 마이토키 감정 상징 각 14 개(총 28 개)에 대해 그 상징을 가장 적절하게 의미한다고 생각하는 보기를 클릭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성별, 상징 유형별 정확도를 분석하였고, 안구운동 데이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IBM SPSS Statistics 22.0 와 Tobii Pro Lab software를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남녀 집단 모두 PCS보다 마이토키 감정 상징을 더 정확히 인식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에 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징 유형에 상관없이 정확도가 낮은 감정들을 확인하였다. 안구운동 데이터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은 정확도가 높거나 낮거나에 관계없이 얼굴의 중앙 부분을 많이 쳐다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성인 대상자가 마이토키와 PCS 감정 상징을 얼마나 정확히 인식하는지와, 그때의 시각처리 패턴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감정 상징 디자인 및 임상적 사용에 대해 몇 가지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on Mytalkie and PCS emotion symbols by tracking their eye-movement. Individuals who use AAC can express their emotions and/or respond to others’ emotions using graphic symbols in their systems. Thus, for their effective communication of emotions, verifying iconicity of AAC emotion symbols is significant. Data from eye-tracking provided information on where participants are visually fixated and paid more attention on the emotion symbols. Method: All participants (11 males, 15 females) were asked to name the presented emotion symbols. Fourteen emotions were presented for each graphic symbol set (total 28). Their eye movements were measured while they read using Tobii Pro glasses 2.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2.0 and Tobii Pro Lab softwar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recognized Mytalkie emotion symbols with higher accurac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ased on gender difference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articipants showed low accuracy in tasks for particular emotions across two symbol sets. When data from eye-tracking was analyzed,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visually fixate on the center area of the presented emotion symbols in general.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some clinical implications on how to design and use emotion symbols by describing how participants recognized Mytalkie and PCS emotion symbols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