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령기 아동의 그림상징 이해 및 선호도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of Graphic Symbols in School-Age Children

배경 및 목적: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의 강점은 다양한 상징 활용에 있다. 아동 대상의 AAC 중재에서 주로 사용되는 상징 유형은 그림상징인데, 이를 다룬 국내 연구가 많지 않고 특히 학령기 아동 대상의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령기 아동의 그림상징에 대한 개념 이해와 선호도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 학년 26 명과 3 학년, 5 학년 각각 28 명씩 총 82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네 가지 그림상징 세트(PCS, DAS, Ewha-AAC Symbols, Blissymbols)에 대한 아동의 개념 이해 정확도와 선호도를 조사한 후,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과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결과: 그림상징 세트에 따른 아동의 이해 정확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상징별 이해 정확도 점수는 DAS가 가장 높고 Blissymbols가 가장 낮았다. 상징별 선호도는 학년에 상관없이 DAS, PCS, Ewha-AAC Symbols, Blissymbols 순으로 동일하였다. 논의 및 결론: 아동의 선호도가 높은 그림 상징일수록 이해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학령기 아동의 그림상징에 대한 이해와 선호도가 성인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고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strength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ntervention lies in the use of various symbols. A graphic symbol is used most common in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f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graphic symbol sets in elementary school. Method: A total of 82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luding 26 1st graders, and 28 3rd and 5th graders, respectively. After examining comprehension accuracy and preference in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four graphic symbol sets (PCS, DAS, Ewha-AAC Symbols, Blissymbols), the repeated measure ANOVA and Chi-square tests to assess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conducted. Results: The comprehension accuracy according to the graphic symbol sets increased with grade level. And the score of the accuracy by the symbol sets had the highest DAS and lowest Blissymbols. Graphic symbol preferences were the same regardless of the children’s grade in the order of DAS, PCS, Ewha-AAC Symbols, and Blissymbol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a difference in conceptual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depending on the graphic symbol se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nderstanding and pre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y differ from adults. Thus, more in-depth consideration of this matter is needed.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