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언어중재가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연결어미 산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anguage intervention using an IoT-based smartphone application on the connective endings expression of the Korea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 제8권 제1호
- 2020.06
- 23 - 55 (33 page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언어중재를 실시했을 때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연결어미 산출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훈련하지 않은 문항에 대한 일반화 효과,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향상된 연결어미 산출 능력이 유지되는지에 대한 유지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의미관계의 연결어미 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주2회 40분씩 연결어미 중재를 실시하였다. 목표 연결어미는 ‘대조’의 ‘-는데’, ‘-지만’, ‘조건’의 ‘-면’이며, 매 회기마다 실시한 평가에서 연결어미 산출 정확도가 연속 3회기 동안 80% 이상 유지될 경우 다음 목표 연결어미 중재로 넘어가도록 종결 준거를 설정하였다. 결과: 중재 결과, 3명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모두 연결어미 산출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가 진행됨에 따라 일반화 평가 항목의 연결어미 산출 정확도도 증가하였다. 또한 대상 아동 모두 중재가 종료된 후 3주간의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중재를 통해 향상된 연결어미 산출 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언어중재가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연결어미 산출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점을 감안할 때, 중재 도구로서 활용 가능하다는 임상적인 의의를 시사한다.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nguage intervention by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ree effects were addressed: (1) the effect of grammar morpheme intervention of the connective endings expression accuracy on preschoolers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2) the generalization effect on untrained picture stimuli, and (3) the maintenance effect of improved ability after the end of intervention. Methods: Three children with SLI, with difficulties in using connective endings as a semantic concept were examined.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ice weekly, for 40 minutes each session. Each session comprised a 10-minute test and then 30-minute training.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accuracy of the connective endings expression improved in the intervention phase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in all of the target children. Second, the connective endings expression accuracy was higher in the generalization phase than in the baseline and the intervention phase. Third, all the children maintained the improved expression ability of connective endings even after three week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anguage intervention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Io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nnective endings expres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LI. The findings suggest that IoT-based application could be useful as well as effective as a language intervention device.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