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 부모의 AAC 포기 경험과 지원 요구

Experiences and Demands in Parents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on AAC Abandonment

배경 및 목적: 아동 대상의 중재에서 부모는 가장 중요한 이해당사자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 부모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포기 경험과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자녀를 위해 AAC를 시도하였으나 현재는 AAC 사용을 포기한 부모 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면대면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여 자료를 구성하고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의 AAC포기 경험은 ‘희망에서 실망으로’, ‘실제적인 지원 부족’, ‘정보 습득의 난관’ 이라는 3개의 주제로 요약되었고, AAC에 대한 지원 요구는 ‘홍보와 교육의 균형 맞추기’, ‘견고한 AAC 교육시스템 구축’, ‘진정한 소통 수단으로서의 AAC’라는 3개의 주제로 요약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 부모의 AAC에 대한 인식에 비해 AAC이행을 위한 실제적인 지원이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AAC 사용을 저해하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AAC 사용 촉진을 위한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Parents are one of the most crucial stakeholders in interventions involving childre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who abandon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Method: We conducted face-to-fac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six parents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to organize and categorize the data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AAC abandonment were classified as: (a) From Hope to Disappointment, (b) Lack of Practical Support, and (c) Difficulty of Information Acquisition. Their demands of AAC were classified as: (a) Adjustment of Balance Between Promotion and Education, (b) Establishment of Strong Educational Systems for the Use of AAC, and (c) AAC as a True Means of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although parents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were aware of AAC, they did not receive corresponding support for implementing it. Practical challenges impeding AAC utilization and means for supporting and facilitating the use of AAC were discussed.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