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의사소통장애인의 지역사회 생활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어휘목록 개발 -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AC Vocabulary List for Community Living of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 Focusing on Public Institutions

  • 6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의사소통장애인의 지역사회 생활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어휘목록을 개발하여 공공기관 방문 시 의사소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구글(google) 맵 플랫폼의 장소 유형(place types)을 기준으로 지역사회 내에서 사람들이 즐겨 찾는 장소의 목록을 작성한 후 선별하여 12개의 공공기관을 선정하고 각 장소에 알맞은 어휘를 개발하여 어휘 중요도를 5점 척도로 제시하였고, 발달장애인의 부모와 AAC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회의 어휘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어휘 중요도 평정 결과 평균이 3.5이상인 어휘만을 추출하여 도출된 최종 어휘 수는 총 307개였다. 둘째, 최종적으로 선정된 어휘를 분석한 결과 명사가 대부분이었으며, 동사, 형용사의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에서 제시한 어휘목록은 추후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의사소통장애인이 지역사회 내 공공기관에서 AAC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어휘 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resource necessary for communication in public institutions by developing 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vocabulary list for community living for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Method: Using Google Maps platform, a list of the favorite places of people in the community was made and 12 public institutions were selected. Vocabularies appropriate to each place were developed and importance of vocabulary was present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Vocabulary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two times on parent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lso on AAC experts. Results: Firstly, as a result of the vocabulary importance test, a total of 307 vocabularies were derived by selecting vocabularies with an average of 3.5 or higher.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nally selected vocabularies, most words were nouns followed by verbs and adjective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vocabulary list genera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vocabulary instruction for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including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public institutions in the community.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공공기관 어휘 분석을 위한 타당도 검증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