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증강현실 기반 AAC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평가

The User Experience Test of Augmented Reality based AAC Application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AR-AAC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비구어 의사소통장애인의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교육 현장에서의 사용경험과 활용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본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AR-AAC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나리오 과제를 개발하여 AAC와 관련된 연수를 10시간 이상 이수한 특수교사 9명을 대상으로 AR-AAC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및 활용가능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고 AR-AAC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지원방안과 관련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AR-AAC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와 활용가능성 평가의 대부분의 문항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상징과 글자 스타일의 일관성, 상징색채 조합의 일관성, 음성의 명료성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상징선택 시 반응하는 속도와 오류 방지 설계 평가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논의 및 결론: AR-AAC 애플리케이션은 실제 의사소통 상황 장면과 그림상징 간 매치를 통해 어휘학습과 그림상징 변별학습에 도움을 주고 준비 시간을 단축해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자가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어휘가 제한되어 있어 이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r experience and availability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o examine support plans for effective use of this application. Method: By developing a scenario task to evaluate the major functions and the reliability of Augmented Reality (AR) based AAC application. The availability of AR-AAC application was evaluated on a 5-point scale for nine special teachers who completed AAC-related training for more than 10 hours. We evaluated and conducted interviews related to support plans for effective use of the application. Results: Most of the items in the reliability evaluation of the AR-AAC application received positive feedback. The lightness of the symbols and letters, the consistency of the color combination of the symbol, and the clarity of the voice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However, the speed of reaction when selecting a symbol and the design evaluation to prevent errors were both rated poorly. Conclusion: The AR-AAC application was found to be positive as it has improved vocabulary learning, discriminated picture symbols, and shortened preparation time through matching between actual communication situation scenes and picture symbol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user had difficulties in manipulating it and the vocabulary was limited, so further improvement was required.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