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AAC 상징 이해 정확도 및 선호도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of AAC Symbo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42

배경 및 목적: 언어발달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시기에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CCN)를 가진 아동은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시스템을 사용하면 어린 나이부터 언어 및 의사소통에 대한 접근을 지원할 수 있다. AAC에는 그림 상징이 많이 사용되는데 대부분의 상징들은 성인의 개념 이해에 기반해 제작되어 어린 아동이 상징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발달적으로 적절한 상징(DAS)이 개발되었고, 상징이해도와 선호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아직은 장애 아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현재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한국형 AAC와 위톡(wetok)과 DAS의 상징이해도와 선호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아동 10명과 수용어휘를 일치시킨 일반아동 10명이다. 상징유형(DAS, 한국형 AAC, 위톡)에 따라 7개 어휘(먹다, 오다, 크다, 없다, 누구, 무엇, 위)를 설명한 후, 상징 이해 정확도와 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일반아동이 장애아동에 비해 상징 이해도 점수가 높았고, 발달장애 집단에서는 한국형 AAC가, 일반 집단에서는 DAS가 높은 이해정확도를 나타냈다. 상징 선호도에서는 발달장애집단은 DAS, 일반집단은 위톡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장애 아동의 상징 이해도와 선호도가 일반 아동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AAC 상징 개발 시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징이 개발되고 선택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CCN) can us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to support their communication. AAC systems include graphic symbols and it is important that they are comprehensible by these children. DA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Symbols) were developed for the children, but there is very limited evidence on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of this symbol set b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of AAC graphic symbols including DAS, Ewha-AAC symbols, and wetok. Method: T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group) and 10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language age matching: LA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Seven abstract words (Eat, come, big, none, who, what, up) were selected and different AAC symbol sets(DAS, Ewha-AAC symbols, wetok) for these words were presented to the participants. After an instruction session on the meanings of the symbols, their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data were collect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cipant groups with higher accuracy from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most of the DD group preferred DAS, while most of the other group preferred wetok.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for DAS, Ewha-AAC symbols, and wetok were different in children with/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AAC symbol design and selection should be based on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profile, particularl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