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반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SON-DAM on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 of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 제10권 제2호
- 2022.12
- 25 - 53 (29 page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구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시각중복장애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손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의사소통 반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목표 어휘 선정, 연구 보조 교사 훈련,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중재는 수업 환경에서의 어휘 습득 훈련과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기능적 어휘 사용 훈련으로 이루어졌다. 결과: 3명의 학생 모두 기초선에 비해 의사소통 반응 행동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고, 다양한 의사소통 반응 행동 양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증가한 의사소통 반응 행동 발생 빈도는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기초선 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논의 및 결론: 손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반응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시기까지 적절한 의사소통 수단이 확립되지 않은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손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SON-DAM on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 in three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using spoken language. Method: This study used a multiple baseline probe techniqu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target vocabulary selection, research assistant teacher train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vocabulary acquisition training in a classroom environment and functional vocabulary training in a natural environment. Results: All three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s after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SON-DAM. Compared to the baseline,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s increased, and various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 patterns were used. The increased frequency of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s of the three students was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baseline after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 was finish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SON-D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frequency and maintenance of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s of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communication skills for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se appropriate communication means were not established until adolescence.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