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의 뇌성마비 자녀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한 AAC 부모교육 효과

Effect of AAC parent education for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the pre-intentional communication stage

  • 64

배경 및 목적: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해 AAC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며, 그들의 의사소통 주 상대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한 AAC 부모교육은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 촉진을 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AAC 부모교육을 실행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의 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AAC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어머니와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자녀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하였고, 교육 전후에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AAC 부모교육 후, 어머니와 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의 사후검사 결과가 사전검사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첫째, AAC 부모교육은 어머니의 의사소통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고, 장애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자신감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 기술의 향상은 AAC 사용자인 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을 촉진하였다. 셋째, 다양하게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머니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였고, 교육 만족도를 높였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people with cerebral palsy in the pre-intentional stage, parents are the main communication partners and they need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ren and how to facilitate communication development with Augmeneta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However, studies on AAC parental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the pre-intentional communication stage are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AC parental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the pre-intentional communication stage and to verify its effect on the parents’ and children’s communication behavior Method: Parental education was conducted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the pre-intentional communication stag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pre and post-test before and after education. Results: After AAC parental education, the post-test result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mother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re-test. Conclusion: First, AAC parental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other’s communication behavior and helped to develop confidence in her interaction with the children. Second, the improvement of the mothers’s communication intervention skills facilitated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AAC users. Third, the contents of various parental education programs facilitat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mothers and increased educational satisfaction.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