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예술 활용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n culture and art in multicultural education

DOI : 10.14328/MES.2015.9.30.177
  • 55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활용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다문화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이 주요 정책 아젠다로 등장하기 시작한 2006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및 등재후보지에 수록된 문화예술 활용 다문화교육 관련 논문 48편이다. 연도별 추이,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주제 등을 분석틀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6년 5편, 2009년 6편, 2010년 9편, 2011년 11편, 2012년 6편, 2013년 7편, 2014(8월 기준) 4편 등으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2년에 6편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은 유아, 초등학생, 중등학생, 대학생, 교사, 다문화가정 자녀, 일반 한국학생, 기관 담당자 등으로 비교적 다양한 편이었다. 셋째,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가 전체 연구의 절반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질적 연구, 양적 연구, 통합 연구의 순이었다. 넷째, 연구 주제별로는 담론이 가장 많고, 교육자료, 교육현황, 교육 프로그램 개발·효과, 인식 및 태도, 교육 방법, 교과 내용 등의 순으로 연구되고 있었다. 문화예술 활용 다문화교육 연구는 다른 영역에 비해 연구가 많지 않다. 문화예술의 보편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면 다문화교육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보다 많은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utiliz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2006-2014. For the analysis, a total of 48 papers were investigated, which are on arts and culture utiliz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apers by year was 5 in 2006, 6 in 2009, 9 in 2010, 11 in 2011, 6 in 2012, 7 in 2013, and 4 in 2014 (on the basis of August), gradually increasing from 2006 to 2011 but reducing to 6 in 2012. Second, the subjects vary, ranging from infa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ary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teachers,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general Korean students’ to officials in charge in the agency.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research method revealed that literature research accounted for half of the total study,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and integrating research.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research topic showed discourses accounted for the most number, followed by educational materials, educational status, effects of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wareness and attitudes, teaching methods, course contents, etc.

Ⅰ. 문제제기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