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다문화 교사교육 실행연구: 미국 사범대학 사례

Action research o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 case of the U.S. teacher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연구자가 미국 A 주립대학의 사범대학에서 다문화 교사교육 강좌를 가르친 경험에 대한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바탕으로, 수업을 수강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교육 학습 경험을 인터뷰를 통해 탐색하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교원양성기관 수업으로서의 다문화 교사교육의 효과와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긍정적인 효과로는 예비교사들의 다양성 개념에 대한 인식이 변화ㆍ재구조화된 점이다. 유색인종 및 이주 집단의 사회 공헌을 중심으로 한 다문화사(史)에 대한 지식과 백인우월주의ㆍ자민족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도 증가하였다. 수업을 통해 학습한 다문화교육 이론을 현장실습에 적용해보고, 특히 빈곤과 학업성 취격차 문제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축적한 것도 주요 성과로 꼽혔다. 반면, 한 학기 동안의 강의는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편견이나 거부감을 완전히 배재하거나 다문화교육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과 헌신적 태도를 이끌어내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현장실습과의 연계가 부족한 상태에서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은 일부 예비교사들에게 다소 요원하게 느껴지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한국 다문화 교사교육의 개선 및 발전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함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Grounded in an action research approach, this study explored 31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learn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course and the efficacy of the course offered at a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the U.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course demonstrated both positive effects and limitations. As a result of the course,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challenge and reconstruct their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iversity. By learning a history of multicultural America and the contributions of immigrants to nation building,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n opportunity to acknowledge and rethink the prevalence of white supremacy in the official school curriculum. Also, the course helped them broaden their views to understand the issues of inequality, poverty and achievement gap during their practicum. Meanwhile, a semester-long course was not sufficient enough to challenge some pre-service teachers' resistance and biases against multicultural education.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course and the field practicum sites was discussed as a limitation of the course by the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betterment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Korea.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