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에서 일어나는 예술 활동에서 삶의 가치를 긍정하는 장면을 찾기 위한 시도로 계획되었다.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였으며,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으로 확보한 자료를 모두 텍스트화하여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긍정이론과 유사한 점이 발견되어 긍정의 요소들로 재배열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역 오케스트라 활동은 공동체 음악 문화를 형성하고 발전시킨다. 둘째, 구성원 개인은 공동체에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장을 형성한다. 셋째, 오케스트라의 개인은 각기 다른 다양체를 구성하고 음악활동을 통해 탈영토화한다. 넷째, 구성원들은 끈기 있게 연습하고, 음악적 방법으로 협동하며, 서로의 감정을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연결접속한다. 오케스트라 교육은 각기 다른 긍정의 순간을 체험하고 나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happiness through positive value of life in local art activitie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and all data obtained were textualized and coded. Through coding analysis, similarities with positive theory were found, so text coding was rearranged into positive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local orchestra activities formed and developed community music culture. Second, individual members have formed a place where they can interact with people of various class in the community. Third, each individual in the orchestra constitutes a different multiplicity and deterritorializes through musical activities. Fourth, members practice patiently, cooperate musically, and connect in the form of talking about each other's feelings. Through orchestra experience, members can experience and share various positive moments. Local orchestra activities allow local residents to learn Use ‘form of positive life’ through music activities. Each musical activity values life as it is connected to one's own lif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절차
Ⅳ. 지역 오케스트라 음악 활동에서 나타난 긍정 요소
V.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