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모의 반응과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곤란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709명을 대상으로 집행기능 곤란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가 제시한 Process macro의 병렬식 다중매개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모의 반응과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는 문제행동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의 경우, 모의 감정코칭반응은 내재화 문제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면서 계획 및 조직화 곤란을 통해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 과민반응은 계획 및 조직화 곤란을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하였고, 모의 감정축소반응은 정서통제 곤란을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모의 감정코칭반응과 모의 과민반응 모두 행동통제 곤란을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하였고, 모의 감정축소반응은 정서통제 곤란을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집행기능 곤란의 간접효과는 아동기 문제행동 유형에 따른 적절한 개입 방안의 모색과 함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actions to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among children. Methods: For analysis purposes, 709 data points were gathered from 5th and 6th grade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Hayes’ parallel multi-mediation model of the Process macro was used.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emotional coaching response showed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Hypersensitivity and emotional reduction responses showed a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problem behaviors. Second, as in the case of internalizing behaviors, indirect effects through planning and organizational and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externalizing behaviors, indirect effects through difficulty in controlling behavior and difficulty in controlling emotion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programs for preventing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s, as well as finding appropriate intervention methods according to types of problem behaviors apparent in childhood.
서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