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CPTED 원리에 기초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서울시 동작구의 초등학교 시설물에 적용된‘학교폭력 예방 디자인’의 효과성을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질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운영을 주관하거나 이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교사들 가운데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교사들을 표집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장 교사들은 ‘학교폭력 발생 비율의 감소를 유도하는 사업’으로 본 사업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특히 학교폭력 예방 디자인의 적용이 ‘감시체계 구축’을 넘어,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정서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는 데 기여하는 ‘공간의 개선’의 의미를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밝고 친근한 분위기’는 단순히 심미적 개선 효과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간에 대한 학생 선호도 증가, 심미적 효과 증대, 가시적 폭력 감소, 공간 활용성 증대에 긍정적인 선순환적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CPTED의 원리인 ‘공간 활용성 증대’ 는 자연적 감시체계 구축, 유지관리 효과, 공동체성 강화에 선순환적 영향을 주며, ‘영역성 강화’는 잠재적 가해자 접근 차단, 긍정적 메시지 전달, 안전의식 강화 및 안전사고 예방 차원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그간 논의가 제한되었던 학교 공간 디자인과 학교폭력 연계성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 학교폭력 예방의 의미를 넘어 궁극적으로 학교 공동체 강화와 학생 행복 증진을 위한 공간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Design' applied to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rinciples,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ngaged teachers from the project, implemented from 2017 to 2021 by Seoul's Dongjak District Offic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on the ground perceived the project as an initiative 'inducing a reduction in the incidence of school violence.' Particular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design transcended the mere meaning of 'surveillance system construction,' contributing to 'space improvement,' providing familiar and emotionally positive impacts on students. Second, the 'bright and friendly atmosphere' was found not only to enhance aesthetic appeal but also to positively influence a virtuous cycle of increased student preference for the space, increased aesthetic effects, visible violence reduction, and enhanced spatial usability. Third, CPTED's principle of 'enhanced spatial usability' was found to have a virtuous effect on natural surveillance, maintenance efficiency, and community cohesion. Lastly, 'territorial reinforcement' was closely tied to potential offender access prevention, positive message delivery, safety awareness enhancement, and accident prevention. These findings led to policy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school facilities and desig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