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국어과 예비교사를 위한 PBL 강의 설계 및 적용 사례: 화법교육론 전공 강의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PBL Lecture for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Focused on the Major Lecture of Korean Rhetoric Education Theory

이 연구는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 방안으로서의 PBL(problem-based learning)을 사범대학 국어과 학생들에게 적용함으로써 예비교사인 학습자들이 교수 학습의 이론과 실제적인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강의를 설계하고 적용한 사례를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체적인 강의 사례를 통해 중·고등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을 사범대학의 예비교사들이 실제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데 연구의 초점이 있다. 이를 위해 PBL의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보고 주요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사범대학에서의 PBL 강의를 설계하여 실제 강의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주제 선정·교육과정 분석·자료 수집 및 조사·문제 작성의 절차로 이루어지는 문제 개발 단계와, 문제 분석 및 학습 과제 도출·자료 수집 및 조사·문제 해결안 도출·문제 해결안 발표로 진행되는 문제 해결 단계로 구분하여 협력 학습과 해결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젝트 학습과 모의수업 방식으로 전개하는 15주 강의 설계를 구안하고 실제 강의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해야 하는 예비교사로서의 사범대학 학생들에게 PBL과 같은 강의 방식이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연구 사례가 설명 중심의 대학 강의에서 학습자 활동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resents an example of designing and applying lectures so that learners, who are pre-service teachers, can learn theories and practical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by applying PBL as a teaching method centered on problem solving to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nable pre-service teacher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o practically lear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middle and high schools through these specific examples of lectures. To this e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BL were examined, and PBL lecture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were designed and applied to actual lectures, focusing on the main core elements. As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the problem development stage and the problem solving stage were proposed separately. The former stage consists of the procedures of subject selection, curriculum analysis,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and problem writing. The latter stage consists of problem analysis, derivation of learning tasks, data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derivation of problem solutions, and presentation of problem solutions. In these two stages, a 15-week lecture was designed in the form of project learning and mock classes was devised, and actual lecture activities were presented, with a focus on cooperative learning and solution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 lecture method such as PBL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s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to guide students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such research cases will be helpful in find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centered on learner activities in explanation-oriented university lectures.

Ⅰ. 서론

Ⅱ. PBL 강의 설계를 위한 이론적 검토

Ⅲ. PBL 강의 적용 사례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