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2022 개정 교육과정 <삶과 종교> 교과 도입에 따른 전망과 과제: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삶과 종교>로 교과명이 변경된 종교교과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의 주요 주체인 교사를 중심으로 변화를 전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종교교과 교사 양성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발현되는 종립학교의 문화를 고찰한다. 더불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자율권 확대가 현장에 미치는 영향들을 예상하고, 종교교과 교사의 전문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정리한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은 교육과정, 교과서, 교원 양성등 다양한 영역에서 제도화와 통일화가 지속되었다. 교육법에 의거한 종교교육의 제도화는 어느 정도 보편성을 담보하였지만, 개별 종교교사에 따른 다양한 특수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반복되는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교과서 개발을 포함한 실질적인 변화 적용의 주체는 종교교사였으며, 그 전문성에 대해서는 성실히 기록되고 연구되지 못 하였다. 지속가능한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을 위해서는 지나온 역사와 현재의 실질적 현황을 종합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초종교 종교교사 협의회가 구성되어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공동의 활동을 통해 학교종교교육이 특정 종교의 신앙교육이라는 오해와 편견을 극복할 것을 제안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of religion, which was renamed from <Religious Studies> to <Religion in Human Life> through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organization, to forecast changes centered on teachers. [Contents] The study examined the culture of religious teachers. Furthermore, it predicted how the expansion of autonomy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ould impact the field, and summarized its relevance to the expertise of religious subject teachers. [Conclusions]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s has been continually institutionalized and standardized across various aspects. The institutionalization, guided by the Education Act, ensures a certain degree of universality, but distinct variations are still attributable to individuals. Moreover, throughout the iterative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religious teachers have implemented practical changes, including textbook development, without their expertise being adequately documented or studied. Comprehensive research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level is required to establish sustainable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s. Also, an inter-religious council of religious teachers needs to be established to propose initiatives aimed at overcoming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s surrounding school religious education.

Ⅰ. 서언

Ⅱ. 종교교과 교원 양성과 교사문화

Ⅲ. 교육과정의 교사 자율성 확대 방안에 따른 예상

Ⅳ. 결어: 지속가능한 학교에서의 종교교육과 종교교사의 성장에 대한 모색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