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트라우마사건 및 사별 경험에 대한 대처 자기효능감 척도(CSE-7)의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the 7-Item Coping Self-Efficacy Scale after Experiencing Traumatic events and Bereavement (CSE-7)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사건 혹은 사별에 대한 대처 자기효능감 척도(7-Item Coping Self-Efficacy Scale; CSE-7)를 타당화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집단을 트라우마사건 경험집단 146명과 사별 경험집단 242명으로 나누었으며, 최종적으로 총 38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트라우마사건 집단과 사별 경험집단을 대상으로 각각 CSE-7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 다집단 동일성을 검증하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1요인 구조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내적 일치도를 검증한 결과, 트라우마사건 경험집단과 사별 경험집단 모두 높은 신뢰도가 나타나 CSE-7이 신뢰로운 척도임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CSE-7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CSE-7과 ‘외상후성장 척도 확장판’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트라우마사건 경험집단과 사별 경험집단 간 동일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분산공분산동일성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트라우마 사건 및 사별 경험 이후 대처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후속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가지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7-Item Coping Self-Efficacy Scale (CSE-7)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o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88 Korean adults (146 with traumatic event experiences and 242 with bereavement experi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each sample supported a single factor structure. Second, CSE-7 was found to display robust internal consistency in traumatic event experience sample and bereavement experience sample. Third, CSE-7 was found to show robust concurrent validity with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Expanded’. Finally, CSE-7 were invariant in traumatic event experience sample and bereavement experience sample. CSE-7 supported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scalar invariance, and strict invari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SE-7 is an instrument having satisfactory psychometric properties to measure coping self-effica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서론

방법

결과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