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중국 문학 스토리텔링 및 교육에 관한 제언

Suggestions on Chinese Literature Storytelling and Education in Metaverse Space

  • 89

본고에서는 큰 틀에서의 중국 문학 및 문화 교육 방식의 전환을 위해 인문 지식을 발굴하고 콘텐츠화함으로써 양방향 교육이 가능한 플랫폼인 메타버스를 소개·제안하였다. 이에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구축에 관한 구상과 실천의 일환으로 ‘메타버스로 만나는 소동파와 덕후들’이라는 주제로 의미있는 스토리를 발굴하고, 이를 메타버스 상에서 시각화하여 관심있는 유저라면 누구나 해당 지식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웹상에 구축하였다. 메타버스 안에서 현실과 가상세계는 무수히 교차되고 연결되면서 유저들은 저마다 상상했던 환경을 실현시킬 수 있다. 메타버스를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경우, 학습자들은 일방적으로 어떠한 지식을 수용하기보다 스스로 아바타를 만들고 역동적으로 지식을 탐색하면서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메타버스라는 플랫폼은 닫힌 세계가 아니라 완성되어가는 세계이다. 학습자들이 의미 있는 스토리텔링 소재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교수자의 역할은 기초적이고 유의미한 인문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고 소개하는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메타버스 플랫폼의 개념과 이를 교육환경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취지를 학습자에게 정확하게 소개할 수 있어야 하고, 각자 주제에 부합하는 창의적인 가상 공간을 구현하기 위해 기술적인 측면의 이해 역시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향후 양방향 중문학 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구축과 소재 발굴은 주제와 방식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paper, metaverse, a platform capable of two-way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proposed by discovering and contenting humanities knowledge to transform Chinese literary and cultural education methods in a large framework. As part of the plan and practice of building a metaverse education platform, meaningful stories were discovered under the theme of 'Su Dong-po and Korea, China, and Japan's otaku on metaverse', and a space was built on the web for anyone interested to easily access the knowledge. In the process of learners discovering meaningful storytelling materials, the role of professors is to convey and introduce basic and meaningful human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the future, the construction of a metaverse education platform for two-way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discovery of materials are expected to have endless topics and methods.

Ⅰ. 들어가며

Ⅱ.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스토리텔링

Ⅲ. 메타버스 제작 도구 탐색

Ⅳ.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구축과 시각화

Ⅴ.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