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토픽모델링(LDA)을 활용한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 관련 이슈 분석

Analysis of Issu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Children, and Multicultural Youth Using Topic Modeling (LDA)

  • 16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를 살펴보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2010년부터 2022년까지 보도된 1,764건의 언론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이 발표된 시기를 중심으로 관련 기사를 1기(2010-2012), 2기(2013-2017), 3기(2018-2022)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 관련 기사가 증가하다 2013년 이후 기사 수가 감소하였지만 보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각 시기별 주요 키워드로 결혼이주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교육, 복지, 정책,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여성가족부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상위 토픽 3개와 각 시기별 세부 토픽 5개를 도출하였으며 1기(2010-2012)는 정책 추진 체계 기반 마련, 2기(2013-2017)은 정책 지속 변화 대응, 3기(2018-2022)는 장기정착에 따른 정책 조정 및 개편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 관련 기사를 다문화가족지원정책 발표시기와 연관하여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하고 정책의 경향성과 연계하여 언론 보도의 토픽을 해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pplied topic modeling among text mining techniques to examine social issu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children, and multicultural youth. To this end, 1,764 media articles reported from 2010 to 2022 were collected using Big Kines, and related articles were divided into 1st (2010-2012), 2nd (2013-2017), and 3rd (2018-2022), focusing on the time when the basic plan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was announc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number of related articles has decreased since 2013, but continuous media reports have been made. Second, as the main keywords for each period, education, welfare, policie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ere derived. Third, three top topics and five detailed topics for each period were derived, and the first (2010-2012) was named as a foundation for the policy promotion system, the second (2013-2017) as a response to policy continuous changes, and the third (2018-2022) as a policy adjustment and reorganization according to long-term polic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