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인지 관점에 기반한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가 통일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The Influence of Positive Affect Towards Korean Reunification on Pro-Unification Action with Social-Cognitive Perspective Among Korean Adults

본 연구는 통일에 대한 집단적 지향 행동 및 옹호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사회인지적 메커니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Miller 및 동료들(2009)이 제안한 사회인지적 관점에 기반한 사회정의 옹호 관심 및 실천 모델을 적용하였다. 20대부터 60대까지의 성인 460명의 자기보고식 데이터를 구조방정식 모델링(SEM)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는 통일을 위한 집단 지향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긍정정서와 집단행동 사이의 관계를 사회정의 자기효능감과 관심이 순차적으로 매개한다. 셋째, 긍정정서와 집단행동 사이의 관계를 사회정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그리고 관심이 순차적으로 매개한다. 이 연구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에 대한 집단적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를 일으키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각 개인의 사회정의 자기효능감을 유발하기 위해 사회문제와 관련된 행동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개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정의 결과기대를 촉진시키기 위해 각 개인의 행동이 사회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희망과 기대를 일깨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사회정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증가시키는 것이 결과적으로 사회정의 관심으로 이어져서 통일을 위한 집단 지향 행동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ocial and cognitive mechanisms to predict group unification-oriented behavioral attitudes in Korean adults. To this end, Miller and colleagues’(2009) social-cognitive perspective based on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was used in this study. 460 adul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provided self-reported data, which was then evalua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affect of Korean reunification has a direct impact on pro-unification collective a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ffect and collective action is sequentially mediated by social justice self-efficacy and interes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ffect and collective action is sequentially mediated by social justice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interest. Next,the following are study’s implications. First, it’s crucial to focus on creat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 Korean reunification in order to encourage group pro-unification ac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to engage in socially relevant activities and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ir actions, in order to foster social justice self-efficacy. Third, the belief and hope that one’s activities can result in positive social change need to be elicited in order to raise outcome expectations. This will raise interest in social justice and encourage group efforts in favor of unifi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