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고용서비스 전문인력 대상 이러닝 교육 프로그램 평가체계 개발

Development of E-learning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System for Employment Service Professionals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고용서비스의 확대 및 고용서비스 전문인력의 전문성 강화 요구에 따라 한국고용정보원 사이버진로교육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이러닝 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운영과 교육과정의 개선 및 질 관리 등을 위한 평가체계 개발 및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Kirkpatrick 4단계 평가모형 및 이러닝 평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고용서비스 전문인력 대상 이러닝 교육 프로그램 평가체계 초안을 마련하였으며, 내부 이해관계자 대상의 FGI 및 외부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통해 평가체계의 내용타당도 및 적절성, 중요도 등의 타당성 검증을 거쳐, 최종적으로 4단계, 7개 평가영역, 22개 평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고용서비스 전문인력 대상 이러닝 교육 프로그램 평가체계는 이러닝의 효과성 측정을 목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닝 콘텐츠의 구성과 학습 전달의 효과성 및 학습자의 지식, 기술, 태도의 향상에 보다 초점을 맞춰 활용하되, 각 평가단계별 평가시기 및 평가주체를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실제 이러닝 교육 프로그램 평가체계 활용 시, 세부 평가방안 마련 및 평가대상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체계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valuation system and verify its validity for E-learning education program operated by the Cyber Career Education Center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evaluation system is for systematic operation, curriculum improvement, and quality management of E-learning content. For this purpose, a draft E-learning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system for employment service professionals was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Kirkpatrick's evaluation model and prior research related to E-learning evaluation. Since then,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system was verified through an FGI survey of internal stakeholders and external expert Delphi surveys. As a result, an E-learning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system for employment service professionals was finally developed, consisting of 4 stages, 7 evaluation areas, and 22 evaluation items. When using the E-learning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on the composition of E-learning content,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delivery, and the resulting improvement of learner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e-learning evaluation system should be used considering the evaluation timing and subject for each stag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evaluation items of the evaluation targe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