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남한지역 세형동검의 조합 및 부장 양상 전개와 그 의미 - 동검, 검병, 검초의 조합 및 부장 방식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he Composition and Grave Goods Deposition Aspect of Korean-Type Bronze Daggers in Southern Korea and its Significance - Focusing on Bronze Daggers, Hilts, and Scabbards -

  • 181

세형동검이 존속한 시기의 무덤에는 세형동검 외 검병, 검병두식, 검초 등 다양한 조합 유물들이 다양한 조합 관계를 보이며 부장되어 있다. 세형동검 존속기는 전체 7개 단계로 획기된다. 제Ⅰ, Ⅱ단계에는 일체의 조합 유물이 배제된 채 동검만이 부장되다가 제Ⅲ단계에 매우 드물기는 하지만 처음으로 복수의 조합 관계를 보이는 조합유형이 출현한다. 이러한 추세는 제Ⅴ단계에 복수 조합 관계를 갖는 동검을 부장하는 것으로 정형화되고, 제Ⅵ, Ⅶ단계에는 이러한 부장 양상이 정형화된다. 조합유형의 변화는 당시 동검 소유집단의 동검 매장 관념, 상장 습속, 동검 부장에 대한 의미 재설정과 깊은 연관이 있다. 동검과 조합유물의 부장 방식 또한 점차적인 변모를 거듭하였다. 대체로 제Ⅰ단계에는 아직 유구로서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세형동검문화 초기집단에서는 관내 눕히기, 주변 지석묘집단에서는 묘역부 눕히기로 부장하다, 제Ⅱ단계에는 관내 눕히기만이 확인된다. 제Ⅲ~Ⅳ단계는 기존 세형동검문화 주 분포권의 부장 방식에서 벗어난 관내퇴적과 棺蓋 등에 동검 등 청동기를 파쇄하여 산포시키는 방식 등이 출현하는데, 전라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적 변형이 이루어진다. 제Ⅴ~Ⅶ단계는 다시 복수의 조합 관계를 가진 동검을 관내 눕히기로 부장하는 것으로 정형화되는데, 이 또한 조합유형 변화와 같은 맥락을 갖고 있다.

In the tombs of the period when Korean-type bronze daggers existed, various composite objects associated with bronze daggers, such as hilts, dagger pommel fittings, scabbards, etc., were also buried as grave goods, forming various compositions. The period in which Korean-type bronze daggers existed could be divided into 7 temporal stages as a whole. In Stages Ⅰ and Ⅱ, only bronze daggers were buried and all composite objects were excluded. In Stage Ⅲ, a complicated pattern with multiple composite relationship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albeit on a limited scale. Such a trend led to the formalization and burial of bronze daggers with multiple composite relationships in Stage Ⅴ, and to the formalization of such burial aspects in Stages Ⅵ and Ⅶ. At that time, the change of composite patterns was deeply related to notions of burial and burial conventions associated with bronze daggers, as well as to the renegotiation of the significance of burying the bronze daggers by the groups that owned them. The burial methods of bronze daggers and composite objects also continued to be gradually transformed. Although they were not generally revealed as features in Stage Ⅰ, they were deposited and then buried either in the coffin by early groups in the Korean-type bronze dagger culture or in the grave boundary by dolmen groups. However, in Stage Ⅱ, of the two above-mentioned methods, only the former existed. In Stages Ⅲ to Ⅳ, away from the existing burial method in the main distribution area of the Korean-type bronze dagger culture, there were some methods, such as deposition in a coffin for bronze objects (such as bronze daggers, etc.) or smashing and then scattering those objects against a coffin lid, etc., which had resulted in regional transformations centering on the Jeolla provinces. In Stages Ⅴ to Ⅶ, the method of burial by laying bronze daggers with multiple composite relationships in a coffin was formalized in the same context as the change of composite patterns.

Ⅰ. 머리말

Ⅱ. 조합 유형과 부장 방식

Ⅲ. 조합 양상의 변화와 의미

Ⅳ. 부장 양상의 변화와 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