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재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직무분석

Job analysis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xperts

문화유산교육사는 공공교육기관에서 문화유산을 주제로 강의 및 현장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전문인력으로서 강사들의 교수역량 강화, 직무소양 배양, 전문성 함양 등을 수행하고 있다. 문화유산교육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문화유산교육의 전문 역량을 갖춘 문화유산교육사의 자격증 제도와 전문인력 양성에 필요한 법과 제도를 갖추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문화재교육의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바로 문화재교육 전문인력의 역량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문화재교육 전문인력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문화재교육 전문인력의 직무를 구성하는 임무와 과업을 도출한 후, 과업별 중요도, 난이도, 빈도를 밝히고, 특정 과업이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필수 능력인지의 여부를 구분하는 것이다. 또한 직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재교육 전문인력의 DACUM 차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DACUM 직무 분석을 위해 1명의 직무 분석가, 7명의 데이컴 위원(내용 전문가), 2명의 진행 및 분석자로 이루어진 DACUM 위원회를 구성하여 직무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문화재교육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수렴에 기반한 교육과정개발이 되어야 한다. 둘째, 현행 문화재교육 전문인력 양성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제고를 지향해야 한다. 셋째, 직무분석(Job Analysis)에 기초한 문화재교육사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활용영역별 수준별 세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문화재교육 전문인력 양성교육의 표준 모델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ob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rofessionals by applying the DACUM job analysis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uties and tasks that constitute the dutie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pecialists, to clarify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each task, and to classify whether a specific task is an essential competency to have in the early tages of employment. Also, based on the job analysis results, it was attempted to present the DACUM chart of elementary school robot instructors. For the DACUM job analysis, the DACUM committee consisting of 1 job analyst, 5 Dacomb members (content experts), 1 research director, and 1 co-researcher was formed and job analysis was perform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rst, the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based on collecting opinions of various experts in the field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econd, the quality of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pecialist training program should be improv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ltural heritage education history curriculum based on job analysi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bdivided program for each level of application area. Fifth, there is a need for a standard model of education for training professionals in cultural heritage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대상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