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현가궤범(絃歌軌範)」의 교육적 가치

The Educational Value of “HyeongaGwebeom(絃歌軌範)”

본 연구는 유중교(柳重敎, 1832~1893)가 도(道)를 가르치고 배우기 위한 교육적인 도구로 ‘현가(絃歌)’에 주목하여 1887년 「현가궤범」을 완성하고, 자신의 서사(書社)에서 실제로 현가를 실연(實演)하여 현가 교육에 기여한 점을 근거로 「현가궤범」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 시대의 다양한 문헌에서 산견(散見) 되는 현가의 행위 주체자 및 연행 목적에 따른 의미를 구분하여 살핀 후, 유중교가 현가 교육의 독자적인 위상을정립하는 배경과 근거, 현가의 구현을 통해 지향하는 교육의 목적, 현가의 실제를 위해 편성한 구체적인 교육내용 등을 순차적으로 고찰하여 「현가궤범」의 교육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현가궤범」은 유중교가 도의 교육 방법으로 현가에 내재한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여자신의 서사에서 실연하고자 현가 교육을 위해 필수적인 주요 음악 원리와 이론, 자양금(紫陽琴)의 제작법과 연주법 등을 포함한 그림 자료, 다양한 시악(詩樂)과 악보 등을 총체적으로 편성하여 실체화(實體化)한 결과물이다. 이는 현가 실연을 위해 독자적인 위상을 정립하고 이전의 관념적․추상적인 ‘현가’ 의미에 구체성을 부여하여 현실 교육에서 직접 실행한 진일보한 도전으로 해석된다. 둘째, 「현가궤범」은 성리학적 사유 체계에 따라 서사에서 활용하는 악의 실제적인 교육 지침서로 고안되어, 경전 수학(修學) 활동으로서의 현가를 통한 개인 차원의 심성 함양에 더해 서사 의례로서의 현가를 통한 사회․국가 차원의 예악 완성의 덕치 국가 구현을 교육의 목적으로 지향하였다. 셋째, 「현가궤범」은 현가의 ‘현(絃)’과 ‘가(歌)’를 직접 실연할 수 있도록 자양금 제작법․연주법에 관한 그림을 삽입하여 이해도를 높이고,시악의 가사와 율자보(律字譜)를 병기(倂記)하여 노래 부르는데 용이하게 하는 등 구체성과 실용성을 확보한 직․간접적인 교육 자료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of discussing the educational value of “HyeongaGwebeom” based on the fact that Yoo Jung-gyo(柳重敎, 1832-1893) completed “HyeongaGwebeom” in 1887 as an educational tool to teach and learn Do(道) and actually contributed to Hyeonga education in his Seosa (書社).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and examine the meaning of Hyeonga's behavior and purpose of performance in various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rediscover the educational value of “HyungaGwebeom” by sequentially considering the background and basis for establishing its own statu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first, 'HyeongaGwebeom' is a comprehensive and substantive result of Yoo Jung-gyo's educational method, focusing on the educational values inherent in Hyunga(絃歌), including major music principles and theories essential for Hyunga education, picture materials including the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JaYanggeum(紫陽琴). This is interpreted as a further challenge directly implemented in real education by establishing an independent status for the performance of Hyunga(絃歌) and giving concreteness to the previous ideological and abstract meaning of Hyunga(絃歌). Second, 'HyeongaGwebeom' was designed as a practical educational material for Ak(樂) used in narrative according to the Neo-Confucian thought system, and aims to realize the national virtue of completing social and national music through Hyeonga as an epic ritual. Third, 'Hyunga Gwebeom' was in charge of securing specificity and practical educational functions such as inserting pictures of the production and performance methods of Jayanggeum to directly perform Hyunga's 'Hyun' and 'Ga,' and making it easier to sing the lyrics of poetry and Yuljabo(律字譜).

Ⅰ. 서론

Ⅱ. 현가 교육을 위한 독자적인 위상 정립

Ⅲ. 현가 구현을 통한 심성 함양 및 덕치 국가 지향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