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드뷔시의「달빛」을 통한 대학생의 미적 음악 경험 분석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Aesthetic Musical Experiences through Debussy’s 「Clair de Lune」

  • 72

본 연구는 Schubert, North, & Hargreaves(2016)가 제시한 ‘정서-차원 체계(ASF)’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드뷔시의 「달빛」을 감상하면서 느끼는 감정 및 정서 반응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그들의 미적 음악 경험을 깊이 있게 조사하였다. 총 12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해당 악곡을 감상하게 하고 이에 대한 감정과 정서 반응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들은 드뷔시의 「달빛」감상 시 정서조보다 감정조의 응답이 많았으며, 특히 내부적 원천 기반의 감정조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 참여자의 응답 중 8.29%만이 미적 정서에 해당하는 응답이었다. 이는 대부분 학생이 드뷔시 「달빛」 감상에서 미적 경험을 하지 못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성별에 따라 외부적 원천 기반의 정서조 응답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넷째, 미적 경험 유무에 따라 미적 경험을 한 집단은 음악이 표현하는 정서나 내용에 더 집중을 기울이는 반면, 미적 경험을 하지 않은 집단은 자신의 내부적 정서에 더 집중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Schubert, North, & Hargreaves(2016)가 제시한 ‘정서-차원 체계(ASF)’는 대학생들의 드뷔시의 「달빛」감상 시의 감정 및 정서 반응 분석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ASF를 통해 학생들의 미적 음악 경험, 특히 감정과 정서의 깊은 차원을 탐색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음악 교육과 심리학 연구의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ffect-Space Framework (ASF)’ proposed by Schubert, North, & Hargreaves (2016) to analyze the emotional and affective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while listening to Debussy’s 「Clair de Lune」 and to deeply explore their aesthetic musical experiences. A total of 125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listen to the piece, and a survey was conducted regarding their emotional and affective rea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had more emotional responses than affective ones when listening to music, with responses based on an internal locus of emotion being the most prominent. Second, only 8.29% of the total responses corresponded to aesthetic emotions. This can be interpreted as most students not having an aesthetic experience while listening to Debussy’s 「Clair de Lun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ffective responses based on an external locus depending on gender. Fourth, groups who had an aesthetic experience tended to focus more on the content expressed by the music, while groups without an aesthetic experience focused more on their internal emotions. In conclusion, the ‘Affect-Space Framework (ASF)’ was highly effective in analyzing the emotional and affective reactions of college students during their listening to Debussy’s 「Clair de Lune」. Through ASF, the researcher was able to explore the deep dimensions of students’ aesthetic musical experiences, especially emotions and affections, and this provided a new direction for music education and psychological researc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