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상황에서 유혹에 빠지지 않고 공부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자기통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들이 학업 상황에서 사용하는 자기통제 전략 유형과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자기통제 전략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학업 상황에서 사용되는 자기통제 전략 10가지 요인(상황선택・환경조정, 처벌, 보상, 사전약속, 주의전환, 인지변화, 수용, 신체적 각성, 행동억제, 우선 욕구 충족 후 학습)에 대한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거친 후 국내 대학생 6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차검증을 위해 설문응답 자료를 무선으로 나눈 뒤 절반(n = 311)에 대해 탐색적 요인을 실시하였으며, 나머지 절반(n = 328)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확인, 준거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별로 3개 문항씩 총 30개 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선별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 척도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요인별 신뢰도가 모두 양호하게 나타났다. 준거 변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대학생들은 학업 상황에서 자기통제 전략 사용 정도가 높을수록 기질적 자기통제와 학업적 자기통제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통제 실패가 낮게 나타났다. 한편 우선 욕구 충족 후 학습 전략과 수용 전략은 다른 전략들과 상반되는 관계를 나타냈으며, 보상 전략은 자기통제 실패와의 관련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국내 대학생들이 학업 상황에서 주로 사용하는 자기통제 전략의 유형을 파악하고, 유혹을 효과적으로 이겨내기 위한 교육적 개입 전략을 마련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In academic contexts, effective self-control strategies are essential for students to persist in their studies and avoid succumbing to distractions and temptation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control strategy scale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situations. A self-report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consisting of 10 self-control strategies used in academic contexts: situation selection and modification, punishment, reward, precommitment, distraction, cognitive change, acceptance, physiological arousal, behavioral inhibition, and studying after temporary desire satisfaction. After review by expert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639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o conduct cross-validation, the survey response data was split into halv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one half of the data (n = 311).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riterion valid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other half of the data (n = 328). Based on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final set of 30 items (three items per factor) was selected for the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goodness-of-fit of the final scale model, and the reliability of the factors was consistently high.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with criterion variables showed that higher utilization of self-control strategies in academic situation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rait self-control and academic self-regulation, and with lower levels of self-control failure. On the other hand, the studying after temporary desire satisfaction strategy and the acceptance strategy showed contrasting relations with other strategies. The relation between the reward strategy and self-control failure was not significant. This newly developed scale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identifying the types of self-control strategies that college students use in academic contexts and in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s to overcome temptation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