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정약용의 마음교육(공부)을 중심으로 그가 제시하는 영명으로서의 인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학자인 정약용은 심설 논쟁의 폐해로 가득한 조선 현실에서 실천성을 견지한 영명으로서의 인간을 자신의 교육론을 통해 그리고자 하였다. 그는 인간이란 상제가 품부해 준 영명지심으로부터 선한 성향을 품부받은 존재로 선한 성향을 따라 선을 실천해야 하는 도덕적 책무가 있는 존재라 설명한다. 이러한 인간은 공부로써 중(中)과 시중(時中)의 마음 상태를 확립할 수 있었는데, 그에게 있어 한 인간이 중과 시중의 마음 상태를 가졌다는 것은 어떠한 사태에서도 자율적이고 주체적으로 선을 선택하고, 행할 수 있는 마음 상태를 확립하였음을 의미하였다. 특히 그는 기존 심학(心學)에서 제기되는 경(敬)과 격물치지(格物致知)의 공부론적 의미를 새로이 제시하며, 한 인간의 영명 실현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그는 욕심과 악이 분분하게 일어나는 인간의 성향 아래서 모든 인간이 선을 실천할 수 있는 마음의 기반을 확립할 수 있는 길을 공부로 제시하면서, 선을 선택하고 선을 행하는 과정은 상제가 인간에게 내린 천명을 실현하는, 영명한 성(誠)한 삶의 길임을 밝힌다. 정약용의 교육철학은 도구적 교육관이 만연해 있는 한국교육의 현실에서 주체적으로 삶을 꾸려 나가는 영명한 인간, 윤리적으로 선을 실천하는 영명한 인간에 관한 교육론적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철학적 함의를 지닌다.
This paper focuses on Jeong Yag-yong’s education of the mind to examine his vision of man as a spiritual being. As a scholar, Jeong saw the reality of Joseon, which was full of the harmfulness of profound arguments, and through his educational theory, he tried to depict a human being as a spirit with practicality. He explains that humans are endowed with good inclinations by the spirit of honor and have a moral responsibility to follow their good inclinations and practice goodness. Such an individual could establish the state of mind of jung (中) and jibjung (執中) study. For Jeong, the state of mind of jung and jibjung meant that the individual had established a state of mind that could autonomously and subjectively choose and do good under any circumstances. In particular, he explored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gyeong (敬) and gyeokmulchiji (格物致知), arising from the simhak (心學) psychology of Neo-Confucianism, and he sought to find the realization of sincerity in the individual from pedagogical methodology. Jeong suggests that study is the way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mind that enables all humans to practice goodness under the human tendency of greed and evil. For Jeong, the process of choosing good and doing good was the path to a life of sincerity (誠), realizing the heavenly destiny given to humans by sangje (上帝). Jeong’s philosophy of education provides a new educational direc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education, where instrumental education is prevalent. It has pedagog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pedagogical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spiritual human being who leads their own life and practices ethical goodness.
Ⅰ. 서론
Ⅱ. 인간 이해의 담론 변화 과정과 인간관 정립
Ⅲ. 중(中)・시중(時中)과 성(誠)의 이해
Ⅳ. 격물치지(格物致知)와 경(敬)의 위상(位相)
Ⅴ. 마음교육이 갖는 의미와 교육적 성찰
Ⅵ.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