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노력의 꾸준함, 관심의 일관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릿(grit),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노력의 꾸준함,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노력의 꾸준함은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관심의 일관성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노력의 꾸준함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steady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311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gri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teady effor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steady effort has been verified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the consistency of interest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llectivel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teady effort that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4)
- 계획된 우연기술 기반 대학생 집단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협의이혼 상담에서 상담자의 진정성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의 개념 및 구성요소에 관한 델파이 기법 연구
-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의 코로나19 이후 첫 대면현장실습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소아암 아동․청소년 돌봄자의 돌봄노동 실태 및 돌봄노동 지원 욕구의 기초연구
- A Study on Strategies for Utilizing the Qualifications of Current Lifelong Educators for Customized Higher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부부 간의 애착 손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긍정 및 부정 감정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정서조절곤란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예측요인 검증: 자녀 집행기능곤란의 차이
- 마음챙김 양육이 유아기 자녀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부모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인 계층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은폐와 심리적 불편감의 구조적 관계 검증
- 예비유아교사의 4C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분석
- 중년기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후준비 수준과 노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검증
-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