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선교사 아동기 자녀의 상실 경험 연구 : 타 문화권 선교지 정착 초기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ss Experiences Childhood of Missionary Children : Focusing on the Early Settlement of Mission Fields in Other Cultures

  • 184
표지.png

본 연구의 목적은 타 문화권 선교지 정착 초기에 선교사 아동기 자녀가 겪은 상실 경험의 그 본질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교지 거주 기간이 6년 이하이며 언어 능력과 의사소통 기술을 고려하여 11세에서 13세의 선교사 아동기 자녀 13명을 선정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된 진술 내용과 상실의 어원, 속담 및 관용구, 문학 및 예술 작품, 상실 그래프를 추적하여,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으로 4개의 실존체(시간성, 공간성, 신체성, 관계성)에 따른 반성적 분석을 통해 14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참여자들의 체험된 시간성은 ‘받아들이기 힘든 이별의 시간’, ‘예견된 헤어짐의 반복에 무뎌짐’, 공간성은 ‘어색하고 불쾌한 생활 공간’, ‘고달픈 떠돌이 생활’, ‘어디에도 내 집이 없음’, 신체성은 ‘언어장벽에 말문이 막힘’, ‘낯선 타국 생활에 짓눌리는 몸’, ‘혼란스러운 자기 가치’, ‘몸의 회복과 안정 추구’이며, 관계성은 ‘관계 박탈의 아픔’, ‘서로 부대끼며 상처받은 가족들’, ‘소속되고 싶은 외국인의 슬픔’, ‘길들여지지 않은 만남과 이별’, ‘서로 돕는 우정 관계를 시도함’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loss experienced by missionary children during their initial adjustment to mission fields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A group of 13 missionary children, aged 11 to 13, was carefully selected for this research based on specific criteria, including their duration of residence in the mission field (less than six years), language proficiency, and communication skills. Using reflective analysis rooted in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the study identified 14 central themes. The study's results illuminate the diverse encounters the participants faced, including 'Unacceptable Time of Separation', 'Dullness by Repetition of Anticipated Separations', 'Awkward and Unpleasant Living Space', 'Tiring and Wandering Life', 'Homeless', 'Speechless due to Language Barrier', 'Overwhelm by Living Abroad', 'Self-esteem Confusion', 'Physical Recovery and Pursuit of Stability', 'Pain of Relationship Deprivation', 'Family Conflict', 'Foreigner's Longing for Belonging', 'Untamed Meeting and Parting', and 'Efforts to Establish a Supportive Friendship'.

Ⅰ.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