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육연구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 고찰

Analysis of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educational use of chatbot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본 연구는 생성형 AI 챗봇의 등장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던 기존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생성형 AI 챗봇의 향후 교육적 활용 방향과 연구 방향에 대한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시사점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의 방법으로 동향연구를 실시하여, 기존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외 연구 대상, 교육 분야 혹은 교육 영역, 분야별 활용 방법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기존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대상을 살펴본 결과, 국내 연구의 경우 초등학생, 국외 연구의 경우 대학생에 집중되었다. 둘째, 기존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의 교육 분야 혹은 교육 영역을 살펴본 결과, 국내 연구의 경우 언어 교과, 국외연구의 경우 교육 지원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기존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의 분야별 활용 방법과 효과를 살펴본 결과, 국내 연구와 국외 연구에서 챗봇의 공통적인 효과 및 취약점이 확인되었다. 넷째, 국내 연구와 국외 연구 모두 챗봇의 ‘활용 연구’ 보다는 ‘개발 및 적용 연구’에 치중되는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실증 연구’에 한정하여 체계적이고 명확한 기준에 따라 기존의 문헌들을 분석하는 방법인 체계적문헌 고찰의 방법으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the educational use of pre-existing chatbots used before the advent of Generative AI chatbots, and to derive prac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al use and research directions of Generative AI chatbo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trend research as a method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examine the application methods and effects of pre-existing chatbots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subjects, educational or educational fields, and field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bjects of research on the educational use of pre-existing chatbots, it was concentra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omestic research and college students in foreign researc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ducational field or educational field of research on the educational use of pre-existing chatbots, there was a tendency to focus on language subjects in domestic studies and educational support in foreign studi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pplication methods and effects of research on the educational use of pre-existing chatbots by field, common effects and vulnerabilities of chatbots were identified in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Fourth,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ended to focus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research’ rather than 'utilization research' of chatbots.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I chatbo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earch trend was examined through a method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method of analyzing existing literature according to systematic and clear criteria.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