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to Improve Sensory Processing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in a Child with Trichotillomania: A Case Study
모발뽑기장애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작업수행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치료 단일사례 연구
-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 제10권 제2호
-
2023.111 - 12 (12 pages)
-
DOI : 10.64278/JKAMHOT.2023.10.2.1
- 283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ingle case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the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a 7-year-old male child with trichotillomania. Methods : We aim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by assessing changes in the Trichotillomania Scale for Children Parent version (TSC-P), Sensory Profile (SP),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as reported by the caregiver, following 24 sessions of 45-minut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nsory integration therapy has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 with trichotillomania, as evidenced by improvements in the severity of hair pulling, sensory processing,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scores. Conclusion : These findings provide clinical evidence for the use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trichotillomania, and in addition, suggest potential methods for enhancing occupational performance.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통합치료가 모발뽑기장애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7세 4개월 남아이고, 45분 씩 총 24회기의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는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 SP),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아동의 모발뽑기척도-부모용(Trichotillomania Scale for Children, Parent version; TSC-P)을 실시하였고, 양육자의 보고에 따른 변화를 기술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모발뽑기장애를 가진 아동들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결과, 모발 뽑기 심각도 감소와 함께 감각처리능력, 작업수행 능력 및 만족도 점수에 긍정적인 향상이 관찰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모발뽑기 증상을 가진 아동들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작업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재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적인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며, 모발뽑기 증상을 가진 아동들에게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s
Ⅴ. Conclus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