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의도추론과 사회적 상황 이해에 대한 탐색
Exploration of Intention Inference and Social Situation Awareness in Patients with Acquired Brain Injury
-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 제10권 제2호
-
2023.1141 - 48 (8 pages)
-
DOI : 10.64278/JKAMHOT.2023.10.2.41
- 279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의도추론과 사회적 상황 이해에 대한 탐색을 통해 작업치료의 중재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33명의 후천성 뇌손상 환자에게 만화 의도 추론 과제와 사회적 상황 배열 과제 검사를 실시하고 일반적인 특성 중 학력, 유병기간, 후천성 뇌손상 진단 범주군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 만화 의도 추론 과제에서는 각 변수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사회적 상황 배열 과제에서는 후천성 뇌손상의 유병기간과 진단 범주군 중 외상성 출혈군과 외상성 좌상군이 대뇌경색과 경막하 출혈군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 사회적 상호 작용기술과 사회인지 기능을 기초한 훈련에 있어 후천성 뇌손상의 범주 및 유병기간에 따라 각 단계별 적정 훈련 프로그램이 고안될 필요가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 evidence for intervention in occupational therapy by exploring the intention inference and social situation awareness of patients with acquired brain injury. Method : 33 patients with acquired brain injury were tested on the cartoon intention inference task and the social behavior sequence task,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level, disease duration, and acquired brain injury diagnosis category were verified. Results : In the cartoon intention inference task, no differences were found for each variable. In the social behavior sequence task,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uration of acquired brain injury and among the diagnostic categories. The traumatic ICH and the traumatic contusion groups were showed more high score than the cerebral infarction and subdural hemorrhage groups in the social behavior sequence task. Conclusions : When applying training based on social interaction skills and social cognitive functions, it is necessary to devise appropriate training programs for each stage according to the category and prevalence period of acquired brain injury.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