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혁신학교의 IB 프로그램 공교육 도입에 대한 교사의 경험 사례 분석

Case analysis of teachers’ experienc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IB program in public education at innovative schools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행위주체성, 동료성, 및 교사 정체성과 관련된 특징들이 IB 관심 학교 도입 및 운영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교육청의 IB 관심학교 2개교에서 혁신학교 근무 경험이 있는 교사 5명을 선정하여 초점 집단 및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교사들은 혁신학교 경험에 비추어 자신의 교육적 신념에 따라 미래의 교육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현재 주어진 IB 공교육 도입이라는 문화적, 구조적, 물질적 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모델 창출을 위해 능동적, 주체적으로 대응했다. 둘째, 교사들은 IB 관심 학교 운영에서 교사들은 학교의 집단적 학습으로 IB의 비전과 사명이 그들 학교의 비전과 사명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검토하고 수정하며 학교의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교사들은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학교 교육과정을 내실화해보자는 목표를 실천하였다.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외부 강사 연수, 인증학교 수업 참관, 학교 비전과 목표 설정, 프레임워크 실행 등을 운영하면서 학교 집단의 전문성이 증진되었다. IB 관심 학교 교사들은 혁신학교에서 고민하고 실천해온 교육의 방향과 관점에서 IB 정책은 학교 교육이 지향해야 할 변화 방향과 교육의 본질을 찾아가는 과정 중의 하나로 인식하였다. 그과정에서 교사들은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의 전문가로서 교사의 정체성을 재정립하였다.

In this study, we sought to explore how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agency, collegiality, and teacher identity experienced by teachers in innovative schools affect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operating IB schools of interest. For this purpose, five teachers with experience working in innovative schools were selected from two IB schools of interest in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and focus 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novative school teachers actively and subjectively utilize the cultural, structural,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currently given IB public education introduction to create a new curriculum model in order to achieve future educational goals according to their own educational beliefs in light of their innovative school experience. was responding. Second, in operating an IB-interested school, teachers review and revise how the vision and mission of the IB are connected to the vision and mission of our school through the school's collective learning, and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school's educational goals. Teachers were putting into practice the goal of improving the school curriculum throug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expertise of the school group was improving as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perated external instructor training, observed certified school classes, set school vision and goals, and implemented frameworks. Teachers at schools interested in IB recognized the IB policy as one of the processes of finding the direction of change and the essence of education that school education should pursue, based on the direction and perspective of education that innovation schools have thought about and practiced. In the process, teachers were redefining their identity as experts in curriculum, instruction, and evaluation.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