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J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의 내용분석을 통해 그 성격을 파악하고 향후 다문화교육 현장에 맞는 실제적인 방법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6가지 추진과제를 살펴보았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6가지 추진과제를 다문화교육 현장의 실행과정에서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지원과 문화다양성 교육 및 다문화 교육 지원체제 3영역으로 통합하여 정리 및 분석하였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을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정책은 보수적 성격이 강하며, [문화다양성 교육] 정책은 수용적 성격이 강하며,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정책은 변화・개혁적 성격이 강하며, 보수적 성격 4건, 수용적 성격 3건, 변화・개혁적 성격 3건으로 구분할 수 있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은 보수적, 수용적 및 변화・개혁적 성격을 갖추고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보수적 성격에 집중되고, 변화・개혁적 성격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다문화교육정책의 실제 학교 교육과정 속에는 타문화 이해, 평등, 상호이해와 존중 등의 명시적 안내만 있을 뿐 구체적인 정책들이 없으며, 다문화 관련 부처의 연결고리 부재로 인해 정책이 중첩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교육영역에서 실제적이며 구체적이면서도 변화・개혁적 성격의 다문화교육정책이 구성되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어야 하며, 관련 부처의 연결을 시스템적으로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 currently in operation, and sought practical approaches suitable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d the six key initiatives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These six initiative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egrating them into three areas: tailored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support syste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The analysis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tegration revealed that the 'Tailored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policy exhibited a conservative nature,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displayed an accommodating nature, and the 'Support Syste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emonstrated a change and reform-oriented nature. In total, there were four conservative, three accommodating, and three change and reform-oriented initiatives. While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encompassed elements of conservatism, accommodation, and change and reform, it generally emphasized conservatism, and the change and reform aspects often remained more formal than substantive. Additionally, within the actual school curricula, there were explicit guidelines such a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quality,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but specific policies were lacking. The absence of inter-agency connections related to multicultural affairs led to issues of policy overlap. To establish a mult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concrete, and change-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the education sector. Moreover, there is a necessity to establish a systematic inter-agency connection.

I. 서론

Ⅱ. 다문화교육정책의 내용분석

Ⅲ.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로딩중